엔화 약세 현상
19일 원-엔 환율은 900원 선을 밑돌며 엔화 가치가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엔화 약세 현상"의 주된 원동력은 일본이 통화 정책에 집중한 데 있다.
향후 원-엔 환율의 방향은 일본의 통화정책 전환과 원화강세 가능성에 달려있다는 분석이다.
오후 3시 30분 현재 원-엔 차익거래 환율은 100엔당 905.21원이다.
원화와 엔화는 동시 외환시장이 없기 때문에 원-달러 환율과 엔-달러 환율을 기준으로 두 통화의 상대가격을 다시 계산한다.
이날 오전 한때 원-엔 환율은 100엔당 897.49원까지 잠시 떨어졌다. 원-엔 환율이 큰 폭으로 하락(2015년 6월 25일 오후 3시 30분 기준 897.91원)한 지 거의 8년 만이다.
엔화의 원화약세는 일본의 통화정책에 기인한다. 16일 일본은행(BOJ)은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인플레이션을 촉진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신선식품 제외)이 2%대에서 안정될 때까지 경제에 돈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단기금리를 -0.1%로 유지하고 10년물 국채 수익률을 0% 내외로 목표하는 수익률곡선관리(YCC) 정책을 지속한다.
이는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전 세계 중앙은행의 접근 방식과 다르다. 이 결정은 엔화의 상당한 가치 하락에 기여했다.
원-엔 환율은 4월 27일 100엔당 1000.26원까지 치솟은 뒤 이달 16일(903.82원)까지 9.6% 급락했다. 따라서 엔화의 가치는 상당히 떨어졌다.
같은 기간 달러 대비 엔화 가치도 5.2% 하락했다. 반대로 최근 원화 강세는 원-엔 환율 하락의 또 다른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4월 27일부터 6월 16일까지 달러 대비 엔화 가치는 5.2% 하락한 반면 원화 가치는 5.2% 상승했다.
반도체 경기 회복에 대한 낙관적인 기대감으로 외국인 투자 자금이 국내로 유입된 데 따른 것이다.
엔화 약세의 양면성
전례 없는 엔화 약세가 국내 투자자들의 투자 흐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부 사람들은 환차익을 기대하며 자금을 엔화로 예치하고 일본 주식 투자를 선택하고 있다.
반대로, 엔화 약세는 일본과의 경쟁에서 국내 수출 업체에 어려움을 안겨주고 있다. 엔화 약세는 국내 기업의 수출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린다.
다만 일본과의 수출 경쟁이 과거보다 덜 치열해진 점을 감안하면 엔화 약세의 악영향은 어느 정도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우에다 가즈오(上田和夫) 일본은행 총재는 16일 통화정책결정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엔화 약세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동시에 갖는다"라고 인정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엔화 약세는 일본 경제에 긍정적인 요인이다.
앞으로 엔화 가치는 일본의 통화정책과 원화 가치 변동의 영향을 계속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은행의 자체 현금흐름이 하반기에 약화되면 엔화가 다시 강세를 보일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인 원화 강세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최근 원-엔 환율이 100엔당 900원대를 회복한 것도 원화 강세의 소폭 둔화 때문이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10.1원 올랐다.
엔화 환율 전망
김승혁 NH퓨처스 연구원은 하반기 원-엔 환율 반등 압력에 직면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승혁은 연말에 일본은행의 통화정책에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원화 가치는 현 수준에서 안정되어 원-엔 환율이 상승 모멘텀을 가질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될 가능성이 높다.
댓글